연금/퇴직연금(DC, IRP)

[퇴직연금 ETF] 해외주식과 채권에 자산배분하는 KODEX TRF3070

Cash Flow 2021. 8. 7. 14:4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40대 후반에 경제적 자유를 이루고 명예퇴직을 꿈꾸는 Cash Flow 입니다.

 

퇴직연금 IRP, DC형 계좌에서 위험자산 70%를 다 채우고 나머지 안전자산 30%를 무엇을 사야 할까 고민하던 중 발견한 KODEX TRF3070 ETF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KODEX TRF3070 알아보기

 

KODEX : 삼성자산운용

TRF : Target Risk Fund

3070 : 글로벌 선진국 주식 30% + 국내 채권 70% 비중으로 투자

 

시가총액 : 606억 원

상장주식 수 : 5,300,000주

상장일 : 2019. 7. 4.

총보수 : 연 0.24% + 0.15%(추가 비용)

  • 1,000만 원 투자 시 1년 동안 수수료 39,000원, 10년 동안 485,000원 발생

 

투자비용

 

 


 

 

KODEX TRF3070 투자종목

 

 

선진국 MSCI에 투자하는 비중이 KODEX 선진국 MSCI WORLD 17.52%, ISHARES MSCI WORLD ETF 14.27%로 총 31.79%가 위험자산으로 투자되고 있네요. 나머지 안전자산 비중 약 68%는 채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즉, 퇴직연금 계좌에서 위험자산 70%, 안전자산 30% 비중에서 위험자산 70% 채우고, 안전자산 30%를 KODEX TRF3070을 투자함으로써 기대할 수 있는 효과로는

  1. 안전자산 30% 중 30%를 위험자산(선진국) 투자 = 9%
  2. 안전자산 30% 중 70%를 안전자산(국내 채권) 투자 = 21%
  3. 최종적으로는 위험자산 79%, 안전자산 21% 

 

 


 

 

MSCI 선진국 지수 국가별 자산배분

 

MSCI 지수는 미국의 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사가 작성, 발표하는 세계 주가지수를 의미합니다. MSCI World 지수는 선진국 시장을 대표하는 지수로 23개 선진국의 대형, 중형 종목을 편입하는 지수입니다.

 

MSCI 세계지수 - 국가별 자산배분

 

MSCI 세계지수의 국가별 자산배분을 살펴보면 미국이 65.53%로 가장 많이 투자되어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일본 7.96%, 유럽이 약 21% 순으로 투자되어 있습니다. 아무래도 세계적인 기업이 미국에 많이 상장되어 있기 때문에 미국의 투자비중이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

 

 

MSCI 선진국 지수 보유종목

 

 

MSCI 선진국 지수에 포함된 주요 종목들을 살펴보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페이스북, 구글(알파벳), 엔비디아, 존슨 앤 존슨, 유나이티드 헬스케어, 제이피모간, 비자, 홈디포 등이 보이네요. 아주 우량한 기업들이죠.

 

 


 

 

오늘은 퇴직연금 계좌에서 운용하면 좋은 상품인 KODEX TRF3070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저처럼 공격적인 성향이 강한 투자자이고, 안전자산 30% 룰을 지키면서도 어떻게든 주식 비중을 높이고 싶다면 KODEX TRF 3070 ETF는 아주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도 투자의 책임과 결과는 본인의 판단이므로 신중하게 고민하시기 바랍니다. 모두 성투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