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미국

스타벅스 8월 배당금으로 미국주식 추가매수하기

Cash Flow 2021. 9. 2. 17:19
728x90
반응형

 

8월에는 미국 주식 5개 기업으로부터 배당금을 받았습니다. (애플, 마스터카드, 리얼티인컴, 스타벅스, AT&T)

애플 USD 26.55
마스터카드 USD 2.24
리얼티인컴 USD 18.42
스타벅스 USD 80.99
AT&T USD 0.88
합계 USD 131.08

 

8월에 수령한 배당금 총액은 세후로 USD 131.08입니다.

 

8월 30일에 8월의 마지막 배당은 스타벅스(SBUX)에서 입금되었습니다. 총 수령한 금액은 제 계좌와 와이프 계좌 합산하여 세후로 USD 80.99를 받았습니다.

0123

 


 

스타벅스 개요

 

스타벅스는 1971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에서 커피 원두를 판매하는 소매점으로 시작. 1987년 하워드 슐츠가 인수한 후, 커피 전문점으로 성장,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큰 다국적 커피 전문점으로 자리매김. 1990년대 중반부터 북미 외 글로벌 진출.

 

현재 전 세계 32,943개(직접 운영 51%, 라이선스 49%) 매장을 소유(참고로 McDonalds의 매장 수는 약 39,000개). 미국이 점포수 기준 46%, 매출액 기준 70% 차지.

 

현재 제공하는 상품은 커피(음료), 제조 음료, Fresh Food, 소비자 제품군(커피 원두 및 캡슐 커피, Ready-to-Drink 제품 등)으로 분류.

 

 


 

꾸준히 성장하는 글로벌 커피 시장

 

글로벌 커피 시장은 현재 약 1,600억 달러에서 2023년 약 1,805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 동사는 커피 시장 규모가 가장 큰 일본(점유율 9.3%)과 미국(점유율 77%) 내 카페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인 중국에서도 59.2%의 점유율로 현재 1위.

 

올해 신규 매장 순증이 전 세계적으로 1,100개(미주 50개, 중국 600개, 기타 지역 450개) 예정되어 있는 만큼, 중국에서의 성장과 미국에서의 안정적인 실적 흐름이 기대됨.

 

 

반응형

 

배당 성장률이 매력적인 스타벅스

 

스타벅스의 배당수익률은 현재 주가 기준으로 1.53%이고, 한 주당 배당금은 USD 1.8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스타벅스의 큰 장점은 배당 성장률이라고 생각합니다. 

 

출처 : 인베스팅닷컴

 

최근 분기 배당금은 USD 0.45 작년도 분기 배당금은 USD 0.41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2017년에서 2018년은 USD 0.25에서 USD 0.3으로 20%의 배당 성장률을 기록했고, 2018년에서 2019년에는 USD 0.3에서 USD 0.36으로 역시 20%의 배당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2019년에서 2020년에는 13.89%, 2020년에서 2021년에는 9.76%의 배당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5년 평균 15.91%의 배당 성장률입니다. 72법칙으로 계산해 봤을 경우 약 4.52년 뒤에는 현재 배당금의 2배를 받을 수 있습니다.

 

5년 평균 배당수익률은 1.87%로 현재 배당수익률 1.53%에 비해 높은 편입니다. 즉, 주가가 5년 평균 배당 수익률 수준에 비해 많이 상승한 것으로 판단됩니다.(개인적인 판단이므로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현재 시가 배당률이 높은 기업들보다는 현재 배당수익률은 낮지만 배당성장률이 높은 기업들을 꾸준히 모아 간다면 배당금이 성장하는 재미와 주가 상승 또한 기대해 볼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그중 하나가 스타벅스라고 생각됩니다.

 

스타벅스의 드라이브 스루나 매장 안에 사람들이 많을 때면 흐뭇한 미소가 절로 지어지고, 주주가 되길 잘했다는 생각을 항상 하고 있습니다. 역시 마음 편한 주식이 최고인 것 같습니다.

 

 


 

배당금으로 미국주식 추가 매수

 

얼마 안 되지만 8월에 받은 배당금으로 9월 1일 날짜로 미국 주식 추가 매수를 했는데요. 요새 친환경 관련 테마 섹터가 핫하죠. 탈탄소 관련 전 세계 각국에서 엄청난 자금이 투자 중이고 앞으로 더 많은 자금이 유입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요새 친환경 ETF 중에 ICLN이라는 ETF가 있는데요. 이 종목을 2주 추가 매수했습니다.

 

그리고 두 번째로는 BAC(Bank of America)를 2주를 신규 매수했습니다. 앞으로 테이퍼링이 진행되고 테이퍼링이 완료되면 그 이후에 금리 인상이 추세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금리 인상 시점을 아직 멀었다고는 하지만 지금부터 조금씩 은행업종도 모아가려고 합니다.

 

 

이상으로 오늘 글을 마치겠습니다. 모두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